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firebase functions deploy limit
- 25635
- hash
- PS
- eventLoop
- nextTick
- macrotask
- node.js
- 전역에러처리
- 23289
- promise.race
- 25186
- Java
- 파라매틱서치
- Docer
- BOJ
- Kafka
- 백준
- node-cron
- 귀납적증명
- Bitwise AND
- graceful shutdown
- 알고리즘
- 23560
- 20309
- microtask
- ad-hoc
- firebase functions
- 1781
- 코드리뷰를꼼꼼히하자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9)
웰제오의 개발 블로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pBGHX/btrNhOE4JKB/KYKY4Q0iWJ9kf8EQti7yo0/img.jpg)
활동중인 교내 ps 모임에서 괜찮은 문제를 하나 공유받았다 알고리즘 풀이글은 왠만하면 포스팅 안하려고 했는데, 생각할거리가 많아서 정리차 한번 적어본다 https://www.acmicpc.net/problem/20309 20309번: 트리플 소트 $N$은 $3, 4, 5$ 중 하나이다. www.acmicpc.net 문제 알고리즘 수업을 듣고 감명받은 윤이는 자신만의 정렬 알고리즘을 만들기로 했다. 윤이가 만든 정렬 알고리즘 "트리플 소트"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배열에서 연속한 위치에 있는 세 원소를 임의로 고른다. 세 원소의 순서를 뒤집는다. 예를 들어 세 원소가 순서대로 a,b,c이면 뒤집은 뒤에는 c,b,a가 된다. 배열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될 때까지 위 과정을 반복한다. 하지만 윤이는 트리플 소트..
프로그래밍에 있어서 예외 ( 에러 ) 처리는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는 try/catch 문으로 처리하곤 하지만 이는 코드의 가독성을 떨어트리고, 매번 로직을 작성할 때 마다 발생할 수 있는 예외상황에 대한 코드를 작성해야 하고, 공통되는 상황에 있어서도 매번 같은 코드를 작성해야하는 불편함 또한 존재한다. 어쩔때는 catch 문 작성을 깜빡하는 실수를 하기도 한다.. 이러한 단점들로 인해 많은 언어, 프레임워크 에서는 전역적인 에러처리를 지원해준다 Spring 을 사용해본 사람이라면 @RestControllerAdvice 라는 어노테이션을 들어봤을 것 이다 @RestControllerAdvice public class GlobalExceptionHandler { @ExceptionHandler(FooEx..
나는 어릴적부터 내가 아는 내용들을 남에게 설명하는걸 좋아했다 다양한 요리 재료들이 훌륭한 요리사의 손길을 거쳐 오감을 자극하는 멋진 음식으로 재탄생 하듯 산개된 지식들의 연결고리들을 찾아 이들을 연결하며, 시간순서를 가진 하나의 이야기를 만들어가는 과정이 나에겐 하나의 유희였다 개발자는 기술 블로그를 쓰면 좋다고 하던데... 사실상 유희와 공부 두마리 토끼를 다 잡을 수 있는 방법인데도 시작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 것 같다 그간 기술 블로그 작성을 주저했던 이유는 크게 두가지였다 하나는 실력이 부족한 것 같아서, 나머지 하나는 좋은 글을 쓰고 싶어서 쌓을수록 부족하다고 느끼는게 실력이고 개발을 잘 하고 싶다면 개발을 하면 되듯 좋은 글을 쓰려면 글을 써야하기에 사실상 기술 블로그는 언제든 쓰면 되는게..